-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 - 세상을 읽는 신학] (73)내가 세상을 읽는 방식
■ 읽기와 식별 늘 읽고 있다. 읽는 행위는 내 생의 가장 큰 의식(Ritual)이다. 사회를 읽고, 교회...
■ 읽기와 식별 늘 읽고 있다. 읽는 행위는 내 생의 가장 큰 의식(Ritual)이다. 사회를 읽고, 교회...
■ 신학, 교회 신학자로 살고 있다. 학문적 능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신학에 관한 나름의 깊은 관...
■ 늙어감, 죽음 늦가을의 풍경은 어김없이 시간의 흐름을 절감하게 한다. 자연은 색깔이 바래져 가...
■ 위기의 교회 교회의 성장은 이제 한계에 도달한 것 같다. 20세기 후반부에, 세속화라는 거센 파...
■ 글의 인연들 인연을 맺는 방식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작동됩니다.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에는 핏...
■ 절박한 상황들 그리 특별한 일 없이 평온한 일상을 살고 있다. 사제로서 뭔지 모를 미안한 느낌...
■ 시 읽기에 관한 아픈 기억 시 읽기를 좋아한다고 자주 말씀드렸습니다. 오래전 어느 교구 월간지...
■ 공동체 의식의 실종 세상이 어지럽다. 각자도생이 삶의 핵심 방식이 되었고, 개별적 주체들은 자...
■ 서사적 주체 사람은 하나의 이야기다. 사람은 이야기를 만들지만 동시에 이야기를 읽고 듣고 배...
■ 본당 현실에 대한 정직한 진단 본당들이 코로나 이전의 상태로 돌아오고 있다고 한다. 물론 코로...
■ 호칭과 정체성 늦은 나이에 사제가 되었지만, 서품 30주년이다. 물론 나보다 훨씬 더 긴 세월을 ...
■ 위기와 민낯, 그리고 기대 어려움과 고통을 마주할 때 그의 본질을 알 수 있다. 개인이든 공동체...
■ 위기감의 실종 우리는 망각의 동물이다. 어쩌면 우리는 잊을 수 있기에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코...
■ 세속화 세속 시대를 살고 있다. 오늘날 세속화는 단순히 종교의 쇠퇴를 의미하기보다는 종교와 ...
■ 유동하는 세속 시대의 삶 사유보다는 감정, 감정보다는 욕망이 사람을 끌고 가는 시대다. 정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