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지상 신학강좌] 318 세계교회사 (78) 근세교회-안세니즘/김희중 신부

김희중 신부ㆍ광주가톨릭대 교수
입력일 2017-07-21 수정일 2017-07-21 발행일 1994-10-30 제 1927호 6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엄격주의」로 17C에 이단 단죄

자유의지 부정, 은총만을 강조
얀세니즘은 얀센(Corne―lius Otto Jansen, 1585―1638)이라는 신학자에 의해 비롯되었는데 그는 북네델란드 아코이(Acoy) 지방의 경건한 가톨릭 가정에서 출생하였다. 유트레히트(Utrecht), 루뱅(Lou―vain) 및 빠리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였고 1614년 네델란드에서 사제품을, 1617년에는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그는 루뱅에 있는 성 뿔셰리(Saint Pulche―rie)신학원의 원장이 되었다.

1619년경 벨기에 신학자 미셸 바유스(Michel Ba―jus, 1513―1589)의 사상에 대한 논쟁을 통하여 얀센은 성 아우구스티누스 교부의 저서와 신학사상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바유스는 루뱅대학에서 성서 강의를 하였고 후에 대학 총장까지 지냈는데 그는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사상의 한 면만을 일방적으로 지나치게 강조하여 이단적인 교리를 주장하였다.

즉 ①인간이 타락하기 전에 받은 선물은 결코 초자연적인 것이 아니며 원죄로 인해 그 본성이 손상을 받았다 ②원죄와 죄로 기울게 하는 욕정은 같으며 욕정이 있는 한 인간은 의로워질 수 없고 이 상태에서의 모든 행위는 대죄이다. ③의화(義化)는 성사를 통해 받은 은총으로서가 아니라 선업과 사랑을 필요로 하며 완전한 사랑이란 하느님의 계명을 문자 그대로 지키는 것이라는 내용 등을 주장하다가 이단설로 단죄되었다. 그러나 1580년 자기의 주장을 철회하고 다시 교회로 돌아온 일이 있었다.

얀센은 바유스의 신학사상에 심취하여 연구하면서 아우구스티누스 교부의 신학사상을 자기 나름대로 정리하여 1627년「아우구스티누스」라는 책명으로 완성하였다. 얀센은 이 책에서 ①그리스도께서 전 인류를 위해 생명을 바치셨다는 점 ②하느님은 모든 의인들에게 계명을 주시고 그것을 수행할 충분한 은총을 주셨다는 점 ③선악에 대한 내적 요청은 필연적이라는 점 등 가톨릭의 정통신학을 부정하였다. 당시 인문주의자들에 의해 아우구스티누스 교리가 오염되고 신학자들이 그 교리를 몰이해했다고 생각한 얀센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석가로 자처하였다.

위와 같은 가톨릭교회의 정통신학을 부정한 그는 아담의 원죄 이후 절망적인 인간 조건을 부각시키면서 원죄를 범한 순간 인간의 의지는 더이상 자유롭지 못하게 되어 욕정의 노예가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은총으로만 가능한데 그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선택된 사람에게만 주어졌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5세기에 인간의 힘만으로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 펠라지우스 이단(Pellagianismus)을 논박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은총론을 일방적으로 한 면만을 강조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가 죽은 지 2년 후인 1640년에 정식으로 얀센의 신학사상이「아우그스티누스」라는 책명으로 출판되면서 그의 이단적인 신학사상이 여러 사람들에게 본격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이 프랑스에 전파되어 많은 지지자들을 확보하게 되었는데 그 근거지는 엄격한 수도원으로 이름난 샹의 뽀르로얄(Port―Royal des Champs) 수녀원이다.

이 수도원을 중심으로 얀센의 신학사상을 실천하는 추종자들 가운데는 신심이 뛰어난 깊은 신자들도 있어 좋은 영향을 끼친 것도 사실이지만 그 경향이 지나치게 엄격하였다.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대단히 엄격한 윤리성을 요구하였고 고해성사나 성체성사를 받기 위해 오랜 준비를 철저하게 요구하여 어지간한 준비로서는 영성체할 수 없게 되었다.

얀세니즘은 교회, 특히 자기들의 이단적 요소를 명쾌하게 논박하는 예수회 회원들을 세속주의에 야합한 타락한 집단이라고 비난하였다. 사실 교회가 복음적인 삶에서 멀어지고 세속의 풍조에 휩쓸린다고 우려한 많은 열심한 신자들이 얀세니즘의 엄격주의에 아주 호의적이었다. 이 외에도 교회 내의 여러 가지 규율, 특히 속죄행위 등을 거부하였는데 위와 같은 그의 오류는 1653년 인노첸씨우스 10세 교황(1644∼1655)에 의해 이단으로 단죄되었고, 그 후에도 후임의 여러 교황들로부터도 단죄되었다.

얀세니즘 사상이 프랑스 교회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교회에 침투되었고 오늘날도 특히 도덕과 전례에 있어서 지나친 엄격주의적인 얀세니즘 정신이 약간 남아있는 듯하다. 한국 교회 초기에 입국한 프랑스 선교사들은 얀세니즘적인 영성의 영향을 안 받았는지, 받았다면 한국 교회 신앙 생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는지 더 깊이 연구해 볼 만한 과제이다. 지금으로부터 4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영성체 한 번 하기 위해 밤 12시가 넘으면 침도 넘기면 안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손수건으로 계속 혓바닥을 닦아내던 사람들도 많았다.

「보편성」을 존중하는 가톨릭 정신은 적응을 구실로 하는 기회주의적인 타협이나 야합도, 그리고 순수성을 수호한다는 빌미로 내세우는 극단적인 원리주의도 거부한다. 교회는 소수의 특별한 사람에게만 가능한 지나치게 엄격한 윤리 도덕이나 계율을 모든 사람에게 확대하여 일반화시키는 주장도 배척해왔다. 완덕에의 소명은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보편적이지만,「하늘에 계신 아버지 완전하신 것처럼 완전한 사람이」(마태 5, 48) 되어가는 과정이나 정도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의 삶의 형태나 내적인 성숙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각자의 몫이다.

김희중 신부ㆍ광주가톨릭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