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오염수 방출, 신앙인의 관점은
방사능은 인간 능력 범위 밖 문제… 심각한 피해 예측되면 즉각 멈춰야
정책 결정 투명했는지도 의문
핵기술,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
사회적 약자의 더 큰 고통 걱정
5년 넘게 서울에서 조개구이집을 운영해 온 A씨는 가게문을 닫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로 한차례 타격을 맞았던 장사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소식과 함께 더 이상 희망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A씨는 “벌써부터 손님들이 일본산 조개가 아니냐고 묻는데,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면 방사능 검사를 마치고 들어온 수산물이라고 해도 손님들이 뚝 끊길 게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일본과 인접한 한국이 공포에 휩싸였다. 정치권은 “야당이 괴담선동을 시작했다”, “여당이 국민의 불안을 조롱하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방사능에 오염된 수산물 수입에 대한 공포, 정치적 충돌로 혼란스러운 가운데 신앙인들이 귀 기울여야 할 것은 공동의 집 지구의 울부짖음이다.
■ 진행 과정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에서 일어난 대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로 후쿠시마 제1원전 전원이 중단됐다. 이에 원자로를 식혀 주는 긴급 노심냉각장치가 작동을 멈췄고 3월 12일 1호기에서 수소폭발이 일어났다. 당시 고장난 냉각장치를 대신해 뿌렸던 바닷물이 방사성물질을 머금은 오염수로 누출되면서 고방사성 액체가 문제로 대두됐다.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도 핵연료 냉각을 위한 작업이 계속되면서 오염수가 누적됐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저장탱크가 가득 차는 시기를 고려해 2023년 봄부터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후쿠시마 제1원전 앞바다에 방류하겠다고 2021년 4월 발표했다. 방류결정 이후 아소 다로 재무상은 “그 물은 마셔도 아무렇지도 않다”고 말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같은 해 12월 10일, 도쿄전력은 방류 전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저장소 공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 정부의 요청을 받고 오염수의 안전성에 대해 검증을 하고 있으며, 방류 전 최종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안전한가
일본 정부의 결정에 대해 당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IAEA 기준에 맞는 적합한 절차에 따른다면 굳이 반대할 건 없다”는 입장을 2021년 4월 19일에 밝혔다. 대신 과학적 근거 제시와 정보를 충분히 공유할 것, 더 충분히 사전 협의를 할 것, IAEA 검증 과정에 한국 측 전문가나 연구소 대표 참여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정화과정을 거쳐 방류하면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과 달리 원자력 관련 전문가들은 우려를 표했다. 숀 버니 그린피스 동아시아 수석 원자력 전문위원은 5월 10일 열린 ‘일본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대응 국제토론회’에서 “일본은 삼중수소가 내뿜는 에너지가 약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이는 외부피폭 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며 “피부나 호흡,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삼중수소를 섭취하게 됐을 경우 내부피폭을 통해 다른 방사선 핵종보다 더 강한 방사능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5월 25일, 환경운동연합이 주관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대국민 여론조사 발표 기자회견에서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최경숙 활동가는 “현재 후쿠시마 원전 부지 지하수 오염은 상상을 초월한다”며 “5월 12일 도쿄전력 발표 자료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호안지하수 관측공 샘플링 장소 중 한 지점의 경우 세슘134와 세슘137의 합이 42만 배크럴(Bq/l) 검출되고 삼중수소를 포함한 베타핵종까지 심각한 오염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운동연합이 5월 19일부터 4일간 실시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5.4%가 반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국민 79%는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성에 대한 일본 정부의 주장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